[이슈워치] 광주 철거건물 붕괴 참사…사고 원인은?<br /><br /><br />어제(9일) 오후 광주의 한 재개발 현장에서 철거 중이던 건물이 무너져내려 9명이 목숨을 잃었고, 8명이 중상을 입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공사가 다단계 하도급 구조로 이뤄졌단 의혹도 제기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은 철저한 조사와 함께 엄정한 책임 소재 규명을 주문했습니다.<br /><br />이용재 경민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와 건물 해체 방식에 문제는 없었는지, 이번 참사 원인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붕괴 원인을 규명하는 관계기관의 합동 현장 감식이 진행됐는데, 이번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 뭐라고 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오후 2시부터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합동으로 현장 감식을 진행하고 있는데 어떤 부분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게 될까요?<br /><br /> 오후 2시 광주 동구청 건축과장의 브리핑도 있었는데요 철거업체 시공사와 감리자를 형사고발 할 방침이란 이야기가 나왔습니다? 더불어 해체 작업이 제출된 계획서 내용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한단 내용도 나왔거든요? 어떻게 보셨습니까?<br /><br /> 정부가 건물 철거 공사의 안전 규제를 대폭 강화했음에도 사고를 막지 못했단 얘기가 나오는데 법 조항을 보면 건물 관리자는 건물을 해체하는 경우 지자체에 안전 계획이 포함된 해체계획서를 제출하고 허가를 받아야 한다면서요? 광주시가 건물 해체 허가는 제대로 했는지 등 여러 각도의 조사도 필요해 보입니다?<br /><br /> 목격자들에 따르면 철거 작업자들이 건물 주변에 토산을 쌓아 그 위에 굴삭기를 올려놓고 벽체 등을 조금씩 부숴가며 작업을 진행 중이었다고 하는데 공사 기간을 줄이기 위해 무리한 공법을 쓴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더라고요? 위에서 아래로 허무는 이른바 '탑다운 방식'의 위험성은 없습니까?<br /><br /> 게다가 또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, 사전에 사고 징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, 현장에서 차량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인데 작업자들은 급히 대피했지만, 결과적으로 애꿎은 시민들이 참변을 당한 상황 아니겠습니까?<br /><br /> 물론 명확한 원인 나오기 전 이긴 하지만 '인재'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다단계 하도급으로 현장의 안전조치가 미흡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요? 불법 재하도급 여부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문재인 대통령도 철저한 원인 조사에 대한 지시와 함께 2019년 잠원동 철거 사고를 언급하면서 유감이란 표현을 했는데, 2년이 지난 2021년에도 비슷한 사고가 되풀이됐습니다. 철거 현장 신호수 배치 등 기본적인 안전 수칙은 있지만 왜 이런 일이 되풀이된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사고와 관련해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 측은 유족에게 사과하면서도 정작 이번 사고의 중요 쟁점에 모르쇠로 일관하는 모습인데요. 현장에서 재발 방지 대책의 이행을 높이기 위해 어떤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